삼여독서

삼여독서(三餘讀書), 책을 읽기에 좋은 세 가지 여유 있는 시간


『위략(魏略)』과 『삼국지(三國志)·왕숙전(王肅傳)』에 나온다. 옛 선현들은 책을 읽는 중요성과 즐거움을 강조하는 좋은 글을 많이 남겼다.
우선 서양에서는 “독서는 완성된 사람을 만들고, 담론은 기지 있는 사람을 만들고, 필기는 정확한 사람을 만든다. ” -<베이컨> “좋은 책을 읽는 것은 과거의 가장 뛰어난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다.” <데카르트> 가 있다.


동양에선 주자(朱子)의 독서삼도(讀書三到)가 책을 읽을 때 온전히 집중하라는 심도(心到)·안도(眼到)·구 도(口到)를 가리키고, 독서삼매(讀書三昧)란 세 가지가 아니라, 잡념을 떠나서 오직 독서에만 정신을 모으는 경지를 말한 것이다. 여기서 더하여 책 읽기에 좋은 ‘세 가지의 여유 있는 시간’이란 뜻의 삼여 독서가 있다. 겨울과 밤 그리고 비 올 때를 가리키어 ‘독서삼여’라고도 한다. 후한(後漢) 말기에 동우(童遇)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성격이 소박하고 말은 어눌했지만 배우기를 좋아하여 일하는 도중에도 책을 놓지 않았다. 형과 함께 농사를 짓고 또 행상하며 생계를 이어가면서 경서를 읽혀 명제(明帝) 때에 벼슬자리에 나아갔다.


장관직에 오른 뒤에도 학문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아 노자의 주석서를 만들거나 『좌전(左傳)』을 분석했다.


동우의 가르침을 받으려고 사람들이 모여들자 ‘먼저 책을 백번 읽어보면 뜻을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라고 강조했다. 책을 읽을 시간이 없다고 말하면 이렇게 가르친다. ‘누구에게나 세 가지 여유가 주어져 있다. 겨울은 한해의 여유이고, 밤은 하루의 여유이며, 비가 올 때는 시간의 여유이다.’

독서는 생각하기 위함이요 생각은 행동하기 위함인데, 특히 청소년들은 마음의 양식인 좋은 책을 가까이하면 더없이 좋겠다.

/문연 이화수(남이황금길소식 기자, 전 장신대학교 자연치유 대학원 교수)
/문연 이화수(남이황금길소식 기자, 전 장신대학교 자연치유 대학원 교수)

 

저작권자 © 두꺼비마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