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시거(唯才是擧), ‘오직 재능 있는 인재를 천거하여 뽑다’는 뜻이다.

중국 진(晉)나라의 진수(陳壽)가 편찬한 《삼국지》의 〈위서(魏書)〉에 나온다. 유능하고 리더쉽이 강한 지도자라도 혼자서는 이루지 못하여 도와줄 인재를 찾는다. 그래서 크거나 작거나 어떤 조직을 운영할 때 가장 중요시하는 일이 인재 등용인 것이다. 어떤 사람을 구하느냐에 따라서 성패가 갈려 그만큼 중요하다고 인사만사(人事萬事)라 했다.

인품이 훌륭하고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찾는 임인유현(任人唯賢)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는 어렵다. 가까운 사람을 인용하는 임인유친(任人唯親)이 많고 소문으로, 아니면 겉모습 보는 이언취인(以言聚人)이나 이모취인(以貌聚人)이 많아 망사(亡事)가 되는 경우가 잦다.

'오로지 재능 있는 사람을 천거하면 등용한다’는 원칙은 조조(曺燥)에게서 나왔다. 강대국 위(魏)의 실력자 조조가 적벽(赤壁)의 싸움에서 촉오(蜀吳)의 연합군에 패하고 절박한 심정에서 구현령(求賢令)을 발표하였다. 조조는 간웅으로 알려져 있지만, 나라를 경영하는 능력은 뛰어났다. 그는 천하가 아직 평정되지 않았으니 현인을 급히 구해야 할 때라며 재능만 있으면 개인의 배경이나 과거의 전력은 문제 삼지 않고 등용하겠다고 공표했다.

‘강태공 같은 위인이 숨어 있을 수 있고, 관중 같은 청렴과는 거리가 멀어도 발탁되어 환공(桓公)을 패자로 올렸다’라면서 말을 이었다.

‘또한, 형수를 범하고 금을 받아도 재능을 알아본 무지(사람 이름)를 못 만난 자가 어찌 없겠는가? 그대들이 나를 도와주겠다면 흠결이 있어도 재능만 보고 천거하라.’

유방을 도와 한(漢)나라를 세우는 데 공을 세운 진평(陳平)은 도덕적으로 흠결이 많은 사람이었다. 항우를 섬기다 왔고 형수와 사통했으며 뇌물을 받아 장군을 배치하였다. 이를 천거한 위무지(魏無知)에게 유방이 이런 자를 어찌 천거했느냐고 나무라자 그는 행실이 아니고 능력만 봤다고 했다. 실제 진평은 한고조(漢高 祖) 사후에 여후(呂后)들의 농단을 막고 한나라를 굳게 지켰다.

오늘날 인재 등용은 어지러운 시대도 아니니 정부 등 기관에 깨끗한 사람들로 채워졌을까?… 능력은 고사 하고 도덕성을 넘어 각종 범죄자까지 발탁되고 버젓이 청문회까지 통과하는 공직자들을 너무나 자주 본 다. 정권이 바뀌면 오로지 내 편만을 낙하산으로 곳곳에 배치하여 이전의 비난을 무색게 한다. 진정 국민을 위한 인재 등용은 지도자의 덕목이라고 생각된다.

/문연 이화수(남이황금길소식 기자, 전 장신대학교 자연치유 대학원 교수
/문연 이화수(남이황금길소식 기자, 전 장신대학교 자연치유 대학원 교수

 

 

저작권자 © 두꺼비마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