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균 신부

(대한성공회 청주산남교회)

 

 

기후위기라는 거대담론이 오늘날처럼 일상의 주제로 거론되는 때는 없었다. 기후위기에 대한 경고는 올 여름 더위와 가뭄, 그리고 장마 같은 단어를 떠올릴 때 마다 우리 마음에서 양심을 자극하고 있다. 기후위기는 현재 탄소에너지에 의존한 대량소비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생활을 당장부터 바꾸지 않는다면 우리는 다른 대책이 없다. 물론 각국의 정부가 해야할 일이 있다. 탄소에너지에 의존하는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경제를 바꾸는 구조변화를 위한 정책이 나와야 한다. 그러나 세계의 정부들이 그렇게 열심히 그 정책을 만들고 실천에 옮기는 것 같지 않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보수 우익정권이 들어서면 정책의 방향부터 반대로 가려고 한다. 애써 유엔 차원에서 기후 위기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도록 결의를 하고 그것을 위한 국가단위의 정책을 수립하고 실천한다 하더라도 기후위기에 대한 대처로써 충분치 않은데 정부가 그런 정책 자체를 반대하는 정부라면 제대로 된 실천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지금 우리의 현실이 바로 그렇다.

기후위기에 대한 실천은 정부와 기업 차원이 있고 다른 한편에는 개인과 가정, 그리고 마을과 자치단체 차원에서 해야 할 일도 있다. 우리의 기후위기 대처에는 국가나 정부단위의 과제를 실행하도록 감시하고 경고하는 시민운동도 필요하지만 기초생활 단위의 자발적 실천이 더욱 필요하다. 그동안 사회적 경제가 강조되고 다양한 단위에서 경험이 축적되었다고 생각할 때 기후위기의 문제도 사회적 경제단위로 풀어 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그래서 마을협동조합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처하는 다양한 협동조합식 운동으로 풀어나가는 것을 구상해야 한다. 플라스틱 제로를 위한 상품을 만들고 판매하고 보급하는 마을 협동조합은 현재 각 마을단위로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상품의 진정성도 그렇고 그것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이 이것을 운동으로 확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아 보인다.

협동조합방식의 운동은 생산의 협동, 판매의 협동, 소비의 협동 등 우리가 추구하는 새로운 경제의 구조를 조그마한 단위에서부터 구축하기 위한 ‘협동’방식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 협동방식은 자본주의적 시장 원리를 보완할 수 있는 사회적 경제를 시도하는 것이다. 즉 꼭 필요한 것인데 잘 팔리지 않을 것 같은 물건은 구매협동을 통해 그물건의 생산-판매구조를 안정 시켜 유통하는 것이다. 또 대량생산을 하지 않고 공급 해야 하는 것이라면 생산협동방식을 통해 그 물건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일들을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매개하는 조합운영에 지혜와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조그마한 마을 단위에서 로컬푸드, 마을기업, 마을협동조합을 운영하고 지방 정부 차원에서 이를 지원하고 보급 확대하는 조례를 만들어 낸다면 청주같은 인구 80만 단위의 시는 충분히 도전해 볼 만한 규모이다. 그렇게 본다면 지금의 청주시는 너무 크다. 보다 적절한 단위를 목표로 이러한 조합방식의 실천을 추구해 본다면 다양한 협동조합이 만들어 질 것이다.

저작권자 © 두꺼비마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