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영지회(絶纓之會)’는 ‘잔치 연(宴)’자를 써서 ‘절영지연’이라고도 한다. 남의 잘못을 관대하게 용서해 주거나 남을 어려운 일에서 구해주면 반드시 보답이 따르는 것을 비유하는 성어로 사용된다.
  이 고사성어는 전한 시대 말기 유향이 지은 <설원> 복은 편에 나온다. 초장왕이 투초의 난을 평정하고 공을 세운 신하들을 위로하기 위해 성대한 연회를 베풀었다. 밤이 늦도록 주연을 즐기고 있는데 갑자기 큰바람이 불어 촛불이 모두 꺼져버렸다. 이때 왕의 애첩인 총희의 비명소리가 들렸다. 누군가 그녀의 가슴을 더듬으며 희롱했던 것이다. 그녀가 그자의 갓끈을 잡아 뜯고는 왕에게 호소하기를 “대왕 속히 촛불을 켜 갓끈이 없는 자를 잡아주세요.”
  이 말을 들은 왕이 “오늘은 경들이 과인과 함께 즐겁게 술을 마시는 날이다. 갓끈을 끊어버 리지 않는 자는 이 자리를 즐기지 않는 것으로 알겠다.” 이에 군신들은 모두 갓끈을 끊어버리고 주연을 즐겼다.
  3년 후 초나라가 중원의 패자인 진나라와 접전을 벌이게 되었다. 한 장수가 선봉에 서서 죽 기를 무릅쓰고 분투한 덕분에 승리할 수가 있었다. 왕이 그를 불러 물었다.
  “과인은 그대를 특별히 잘 대우해 준 것도 없는데 어찌하여 그토록 목숨을 아끼지 않았느냐?”
  그러자 그 장수는 “3년 전 연회 때 술에 취해 죽을 죄를 지었으나 왕께서 범인을 색출하지 않고 관대하게 용서해 준 은혜를 갚은 것”이라고 했다.
  ‘가난하면서도 비굴하지 않은 것보다는 부유하면서도 예를 아는 것이 더 어려운 것이다’라고 공자는 말씀하였고 ‘약하면서 유순하기는 쉬워도 강하면서 유순하기는 더 어렵다’ 고 순자는 말씀하였다. 강한 자의 온정이 얼마나 어려운 것이며 그러한 자야말로 치자의 도량을 넉넉히 갖추고 있음을 은유적으로 설명하는 말이다.

▲ 문연 이화수(남이황금길소식 기자, 전 장신대학교 자연치유 대학원 교수)

 

저작권자 © 두꺼비마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