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마을에는 법원과 검찰청이 있다. 그래서 수많은 법률사무실이 있다. 많은 법률 사무소 중에 검사 10년, 로펌 변호사 10년, 이제 오롯이 자신의 이름을 건 ‘오원근변호사’ 사무실에서 새로운 출발을 하는 변호사 오원근님(사진)을 만났다.

검사가 되고, 검사를 그만두고~
 "검사가 된 이유는 공직을 꼭 한번 해보고 싶었기 때문이었어요. 연수원 시절 판사시보와 검사시보를 경험했었는데 북적북적 사람 냄새 나는 검사에 더 매력을 느끼게 되어 검사에 지원했었죠. 10년의 검사 생활에 후회는 없지만 자연스럽고 자유스러움을 좋아하는 저와는 좀 안 맞았던 것 같아요. 검찰이라는 조직은 최대한 자신을 통제해야 하고 일방적인 지시에 따라야 할때도 있거든요. 그에 비해 변호사는 좀 더 자유롭다고 할까요? 삶이 영역이 좀 더 넓은 느낌이죠. 검사보다는 변호사가 제 성격이나 가치관과 조금 더 어울리는 것같습니다.”


어떤 변호사?
 “소통을 잘하는 변호사?” 소통이란 서로 뜻이 통하는 것이다. 변호사란 지식과 지혜도 필요하지만 제일 우선은 의뢰인의 마음을 헤아려주는 것이라는 변호사님. 어떨 때는 충분히 들어주어 마음부터 풀어주어야 할 때도 있다고 했다. 변호사님은 의뢰인과 소통을 잘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사건의 크고 작음에 치우치지 않는 마음이나 도덕성을 지키는 것은 당연한 덕목이며 인권 중시, 억울하게 처벌받지 않도록 정의구현을 하는 것은 기본이라고 했다. 충분히 소통하는 그에게 승소와 관계없이 후에 찾아오는 의뢰인들이 많다는 소문의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자연스러움이 정의’란?
 사무실을 들어서기 전 “자연스러움이 정의입니다”라는 문구를 먼저 만날 수 있다. 오원근 변호사에게 자연스러움이 정의란 무슨 의미일까? 궁금했다. "정의란 자연스러움. 자연스러움이 정의 아닐까요? 법이 필요할땐 냉정하고 차갑지만 그것이 항상 정의라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상황에 따라 차가워지기도 하고 따뜻해지기도 하는 자연스러움이 오히려 정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사람도 하나의 모습으로 판단하지 않아요. 무슨 일이든 고정관념을 버리고 융통성을 발휘하고, 긍정으로 보는 마음이 필요한 것 같아요.”
오원근 변호사 사무실 홈페이지(http://오원근변호사.kr)에도 변호사님의 이러한 마음의 글이 있었다.
 “억울하게 구속된 사람을 위해 열심히 변론해 무죄를 선고받게 하고, 또 피해를 입은 분을 위해 적극적으로 고소 대리를 해 상대방을 처벌받게 하는 것, 잘못을 저질렀더라도 자신이 감당하여야 할 정도를 넘어 처벌받지 않도록 하는 것. 이런 일들을 하면서 언제나 '자연스러움'을 무기로 삼았습니다. 상대방을 설득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자연스러움이기 때문입니다. 사건을 맡긴 의뢰인과도 자연스럽게 소통해야만, 주장이 잘 정리되고, 가치 있는 증거들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자연스러움이 정의다"라는 신념을 갖고, 변호사 일을 하고자 합니다. 억울함, 안타까움, 미움, 원망, 초조 등 자연스럽지 못한 상황에 있는 분들과 함께하는데 더욱더 정성을 다하려고 합니다.”라고!

▲ 2017년 마을청소년들의 멘토가 되어준 오원근변호사

삶의 가치관?
 오원근 변호사는 “저것” 하시며 손으로 액자 하나를 가리킨다. ‘정해진 법은 없다’라는 <금강경> 중 ‘無有定法 (무유정법)' 이라는 서예 작품이 눈에 띄었다. ‘무유정법’이란 말 그대로 ‘정해진 법이 없다’라는 말이다.
하지만 '법이 없다'나 정해진 법이 없으니 마음대로 해도 된다는 것은 아닐 것이다. 법도 인연 따라 정해지는 것이고 절대적 진리는 아니라는 것이다. 세상에 만병통치약이 없듯 만병통치법이 아닌 상황과 조건에 따라 '자연스러움이 정의'라는 말과 어쩌면 일맥상통하는 변호사님만의 철학과 가치관을 엿볼 수 있었다.


변호사님의 직업은?
 “지금은 변호사” 가난한 시골집에서 태어나 가문을 일으키고 싶었던 한 소년은 검사, 귀농한 농부, 변호사가 되어 누가 봐도 출세했고 가문도 일으켰다. 그의 삶을 들여다보니 시골에서의 어린 시절, 절에서의 사법시험 준비 기간, 주말농장 즐기는 검사, 귀농 변호사가 되기까지 삶 곳곳엔 늘 자연이 있었고 또 자연에서 에너지를 얻는 것 같았다. 자연에서 자연스러움을 배우고 그자연스러움이 '오원근'이 되었다고나 할까? 그는 검사 10년, 변호사 10년을 하며 법-정의마저도 자연스러움으로 만들었다. 상담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소통되고 그 소통이 치유가 되어 법을 넘어서는 무언가가 있을 것 같았다.

  오늘도 인터뷰라기보다는 마을 사랑방에서 담소를 나누는 기분이었다. 이런 자연스러움이 '오원근'이고 그 앞에서 모든 법은 자연스러워질 것이라 믿는다. 법은 기본적으로 스스로를 보호하기 힘든 사회적 약자를 위한 것이라며 자신의 책무를 정의롭게 이루어가겠다는 변호사님. 스스로의 가치관을 지키며 누군가에게 멋져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나 스스로에게 정의로운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 느낌이었다. 흙을 밟고 자연과 함께하면서 에너지를 얻는다는 오원근 변호사. 그래서 한때는 농부이자 변호사이기도 했던 그는 삽으로 흙을 일구고 그 속에서 살아나는 새싹을 보며 자연의 자연스러움을 느끼기 시작했다고 했다. 도시보다는 시골, 마을이 더 잘 어울리는 사람. 편리해서 편한 것이 아니라 편안해서 편한 오원근 변호사에게 우리마을인물백과에서는 ‘마을변호사’라는 이름을 지어 불러주고 싶다. 그가 어디에 있건 그곳이 도시이든 시골이든 그는 마을변호사인 것이다. 현재 그가 거주하고 있는 산남동, 자연과 공존하는 두꺼비마을이 그래서 그와 더 어울리는지 모른다. 이곳에서 마을변호사로서의 앞으로의 10년도 기대하고 응원한다.

글 쓰는 것을 좋아하는 변호사님에게 출판의뢰가 들어와 1년간 집필한 ‘검사 그만 뒀습니다’에는 오원근 변호사의 어린 시절, 고시 생활 이야기가 담겨있다. 뿐만 아니라 자연의 소중함, 검사, 변호사 생활의 깨달음, 두꺼비마을, 농사 등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있다.

저작권자 © 두꺼비마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