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부터 소화가 잘 되지 않고 유난히 배에 가스가 차면서 헛배가 부르고 복부가 많이 나왔다면 한의학에서는 이런 경우 식적으로 진단을 합니다.
식적은 ‘먹은 것’(食)이 ‘쌓였다’(積)라는 뜻입니다.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고 쌓여서 가스가 차고 더부룩한 불쾌감을 주고 복부가 항상 불룩하고 냄새가 심한 방귀를 뀌거나 가슴이 답답하고 트림과 구역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식적은 만성적인 식체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단순한 체기인 식체와는 다릅니다. 식체는 흔히 급하게 먹거나 찬 음식을 먹거나 신경을 쓰는 경우 소화가 잘 되지 않아서, 답답하고 토하거나 설사를 하는 경우 체했다는 표현을 쓰는데 이는 급성적이고 반복적이지 않은 증상을 말합니다. 반면 식적은그 증상이 반복적이고 오래되면서 복부를 누르면 통증이 심해 지고 단단하게 뭉치는 것이 만져지는 게 특징입니다.
체질적으로 소화기가 약하거나 잘못된 식습관이 오래되 거나 스트레스가 오래되어 소화기가 약해지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명치와 배꼽주변을 큰 원을 그리면서 눌러보았을 때 단단 하게 뭉쳐있거나 통증이 있고 가스가 더부룩하게 찬 느낌이 든다면 식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의학에서는 비위의 부족한 기를 보충해주고 소화기능을 높여서 근본적으로 치료를 하는데, 백출 창출 후박 백복령 인삼 생강 산사 신곡 맥아와 같은 한약을 씁니다.
식적에 도움이 되는 차로는 전통차인 식혜가 있습니다. 이식혜의 재료가 되는 엿기름은 본초강목에서 ‘음식을 소화시 키고 속을 편하게 다스려서 속이 더부룩한 것을 풀어주며 여러 가지 음식의 식적을 소화시킨다.’라고 하였습니다. 요즘은 손님이 찾아오면 커피나 주스를 권하지만 옛날에는 손님이 찾아오면 먼저 식혜를 대접하는 것이 관습이었는데 이는 달달하고 소화를 돕는 식혜로 긴장을 풀고 혹시 모를 식체를 미연에 예방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었습니다.
식적이 있는 경우 배를 따뜻하게 해주고 자주 마사지를 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배가 차가우면 장의 연동운동이 잘되지 않으므로 배를 따뜻하게 해주고 옷을 너무 꽉 끼게 입지 않고 배꼽에서 시계방향으로 마사지를 해주면 위장의 혈액순환을 도와 식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식적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
① 규칙적인 식사시간에 적당량을 먹어 위장의 리듬을 찾아 준다. 과식이나 급하게 먹는 것 끼니를 거르는건 금물이다.
② 30분이상 여유를 가지고 느긋하게 즐거운 마음으로 식사를 하자.
③ 튀기거나 기름진 음식은 피하고 담백하게 먹자.
④ 식사후에 바로 자리에 앉지말고 가벼운 산책으로 장의 운동을 돕자.
⑤ 야식은 절대로 피해야 한다. 충분히 소화가 된 상태에서 수면에 들자.

 

▲ 안현우 한의사(나비솔 한방병원 병원장)
저작권자 © 두꺼비마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