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0만 마리의 가금류가 도살 처분되면서 역대 최악이라 평가받았던 조류독감 사고가 불과 2년 전에 일어났다. 그 이전에도 조류 수백만 마리가 도살처분 되는 등 이제 조류독감은 연례행사처럼 발생하고 있다. 이제는 고병원성 AI를 애초에 막을 방법을 생각해야 될 시기이다.  AI를 막을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바로, 백신주사와 공장식 축산업의 변화이다.
AI의 피해가 사상 최대인 만큼 조금이라도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백신 접종 조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한국동물보호연합 관계자는 "예방적 살처분이 AI 억제 효과가 있다고 검증된 적이 없고 다른 나라에서는 시행하지 않는다"며 "오히려 예방적 살처분을 위해 사람들이 농가를 오가면서 AI 확산을 돕는 역효과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대안으로 정부가 예방 백신 정책을 펴야 한다”며 “AI가 반복해서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가금류 사육을 제한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그러나, 백신주사 접종은 우리나라가 청정국 지위를 잃는 것을 의미하고, ‘조류독감 상시 발생국’이라는 것을 대내외에 공식적으로 알리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방역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관계자 말에 따르면 백신 접종은 조류독감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반면에 언제 또 바이러스가 발생할지 모르는 불확실한 작업이기 때문에 시행에 한계가 있다.

두 번째 방법인 공장식 축산업의 변화는 현실적으로는 추진하기 어렵다는 것이 조류농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동물들의 면역력을 기를 수 없는 이유가 비좁고 열악한 사육 환경이라는 점을 알지만, 이렇게 하지 않으면 경제성을 맞출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개체 밀도가 워낙 높기에 이 중 일부라도 전염성 질병을 앓는 경우, 질병은 순식간에 전 개체로 퍼져나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이 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는 동물들이 제대로 된 면역력을 갖출 기회조차 없다는 것이다. 즉, 공장식 축산 시스템 상에서 사육되는 가금류들은 근본적으로 전염병의 유행을 담보하는 형태나 다름없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이런 공장식 축산 시스템 하에서 사육되던 수많은 가금류들이 AI가 한번 유행할 때마다 수십만 마리씩 떼죽음을 당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과연 ‘경제적 효율’을 위해 공장식 축산 시스템이 정말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공장식 시스템을 바꾸기 위해서는 농가들의 노력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노력 또한 필요하다. 시민들은 절제된 소비습관을 형성해야만 한다. 양계농가가 공장식 축산 시스템을 만들게 된 원인 중 하나가 소비자들의 대량소비이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의 절제된 소비습관은 양계농가의 현 시스템을 바꾸는 결정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현재, 두꺼비살림에서는 이러한 노력들이 진행중이다. 이곳에서 판매하는 달걀은 모두 방사형 농가에서 나온 달걀로, 이곳을 찾는 소비자들은 적당한 양을 구매하여 판매자와의 수요와 공급을 맞추고 있다. 두꺼비 살림에 달걀을 납품하고 있는 류제우 씨는 “예전보다는 안정적이고 수익적인 면에서도 훨씬 낫다”고 밝혔다.
AI를 더 이상 손 놓고 두고 볼 수만은 없다. 농가도, 시민도, 정부도 변화해야만 앞으로의 AI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제는 우리나라가 진짜 AI 청정국다운 면모를 보여줘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두꺼비마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